2025년 서울, 경기, 인천에서 시행 중인 대중교통 정액패스를 비교해 요금, 혜택, 추천 대상별로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내게 꼭 맞는 패스를 선택하세요!
교통비 부담을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서울은 정액형 교통카드를, 경기·인천은 환급형 교통비 지원 제도를 시행 중입니다. 여기에 더해, 정부는 2026년부터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K-패스 정액형 제도 도입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각 지역별 제도는 요금, 이용 범위, 대상자별 혜택이 다르기 때문에 생활 패턴에 맞는 제도를 미리 비교하고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역별 주요 정액패스 제도
■ 서울 – 기후동행카드
-
이용 범위: 버스, 지하철, 따릉이 (일부 상품 한강버스 포함)
-
기본 요금: 30일 기준 62,000원 (따릉이 포함 시 65,000원)
-
할인 대상자 요금
-
2자녀 가정: 55,000원
-
3자녀 이상: 45,000원
-
청소년(13~18세): 55,000원
-
-
한강버스 포함 시: 기존 요금 + 5,000원 추가
9월부터 ‘한강버스’를 정기권에 추가하는 기능이 도입되어, 전용 노선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 수도권 전역 – K-패스 정액형
-
도입 시기: 2026년부터 본격 시행 예정
-
요금 구조
-
일반: 62,000원
-
청년, 어르신, 저소득층, 다자녀 가정: 55,000원
-
광역 포함형: 일반 100,000원 / 할인 대상 90,000원
-
-
이용 조건: 월 최대 200,000원까지 대중교통 자유 이용 가능
정액형은 선불 결제로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광역버스나 GTX와 같은 고비용 교통수단까지 포함됩니다.
■ K-패스 환급형
-
운영 중: 전국 대중교통 이용 시 적용
-
환급 비율
-
일반: 20%
-
청년: 30%
-
저소득·다자녀: 최대 53%
-
-
조건: 월 최대 60회 이용 기준, 초과 시 환급률 축소
정액형이 아닌 후불 구조로, 실제 이용 금액을 기준으로 환급됩니다.
■ 경기·인천 – 더경기패스 / I-패스
-
대상: 경기 및 인천 지역 주민
-
구조: K-패스와 동일한 환급형 시스템
-
장점
-
이용 횟수 제한 없음
-
광역 교통 포함
-
청년 대상 연령 39세까지 확대 적용
-
특히 더경기패스는 통근 거리와 이용 빈도가 높은 청년층에게 매우 유리하며, I-패스는 어르신과 저소득층에게 집중된 혜택을 제공합니다.
어떤 상황에 유리할까?
-
서울 내 이동 중심 → 기후동행카드
→ 정액제로 예측 가능한 비용 지출, 자녀 할인 혜택도 풍부 -
장거리 광역 교통 포함 → K-패스 정액형
→ GTX, 광역버스 등 이용이 많을수록 효율적 -
이용량이 매우 많은 경우 → K-패스 환급형
→ 교통비가 정액권 이상인 고빈도 이용자에 적합 -
경기·인천 거주자 → 더경기패스 / I-패스
→ 청년 확대 범위, 환급률 등에서 높은 혜택 가능
지역별 요금 및 혜택 비교
지역/제도 | 이용 범위 | 요금 | 특징 요약 |
---|---|---|---|
서울 (기후동행카드) | 서울 지하철, 버스, 따릉이 등 | 62,000~65,000원 | 무제한 사용, 가족·청소년 할인권 제공 |
K-패스 정액형 | 전국, 광역 포함 가능 | 62,000원 / 100,000원 | 최대 20만 원 사용, 선불 구조 |
K-패스 환급형 | 전국 교통수단 사용 가능 | 환급률 20~53% 적용 | 고사용자 유리, 이용 횟수 제한 있음 |
더경기패스/I-패스 | 경기·인천 전 지역 교통수단 | 환급 구조 | 횟수 제한 없음, 청년 범위 확대 |
추천 대상별 요약
-
서울 중심 이동 → 기후동행카드
-
장거리 통근, 광역노선 이용 → K-패스 정액
-
고빈도 이용자 → K-패스 환급형
-
경기·인천 중심 이용자 → 더경기패스 / I-패스
❤️ 함께 보면 좋은 글 ❤️
FAQ – 자주 묻는 질문
-
기후동행카드로 GTX나 광역버스도 이용 가능한가요?
→ 아닙니다.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 대중교통에 한정되며, 광역 교통은 제외됩니다. -
K-패스 정액형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 정부 계획에 따르면 2026년부터 본격 도입될 예정입니다. -
더경기패스와 I-패스 신청 조건은 어떻게 되나요?
→ 경기 또는 인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거주자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
기후동행카드 청소년 할인은 어떤 조건인가요?
→ 만 13~18세 청소년 대상이며, 사전 인증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정액형과 환급형 중 어떤 제도가 더 이득인가요?
→ 월 교통비가 정액권보다 훨씬 많이 나오는 사용자라면, 환급형이 절감 효과가 더 큽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