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재산세 납부 방법 기간 주택 2기분·토지분 가산세 안내

2025년 9월 재산세 납부 가이드! 주택 2기분과 토지분 재산세의 납부 기간, 납부 방법, 가산세 주의사항까지 정확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매년 9월은 재산세 납부의 중요한 시기입니다. 특히 2025년 9월은 주택 2기분 재산세토지분 재산세를 납부해야 하는 달로, 많은 납세자들이 기한과 방법, 가산세 여부 등을 미리 숙지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9월 재산세 납부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상세히 안내드립니다.

재산세란 무엇인가요?

재산세는 일정 기준일에 부동산이나 선박, 항공기 등의 자산을 보유한 개인 또는 법인에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이 세금의 과세 기준일은 매년 6월 1일이며, 이 날을 기준으로 소유 여부가 결정됩니다.

9월 납부 대상: 주택 2기분 + 토지분

9월은 주택 재산세의 2기분토지에 대한 재산세가 부과되는 시기입니다.

  • 주택 재산세가 연간 20만 원을 초과하면 7월과 9월에 나누어 납부해야 합니다.

  • 반면, 20만 원 이하인 경우 7월에 전액 납부하므로 9월에는 별도의 고지가 없습니다.

  • 토지 재산세는 소유한 토지에 대해 매년 9월에 한 번 부과됩니다.

납부 기간

  • 2025년 9월 16일(화요일)부터~2025년 9월 30일(화요일)까지

이 기간 동안 재산세를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부과되므로 반드시 납기 내에 납부해야 합니다.

납부 방법

2025년 재산세는 다양한 방식으로 편리하게 납부할 수 있습니다.

  1. 은행 납부

    • 전국 은행의 CD/ATM에서 카드나 통장으로 납부 가능

    • 은행 창구에서 고지서를 통해 직접 납부 가능

  2. 가상 계좌 이체

    • 고지서에 기재된 가상 계좌 또는 전자납부번호로 이체

  3. 온라인 납부

    • 위택스(wetax.go.kr) 또는 인터넷지로(giro.or.kr) 접속

    • 공인인증서 없이도 본인인증만으로 납부 가능

  4. ARS 전화 납부

    • 전용 ARS 번호로 신용카드 또는 계좌 이체(142-211)

재산세 분할 납부 조건

  • 재산세가 250만 원 초과 ~ 500만 원 이하인 경우
    → 250만 원을 초과한 금액에 대해 분할납부 신청 가능

  • 500만 원 초과 시
    → 전체 세액의 50%까지 분할 납부 신청 가능

분할 납부는 지자체에 신청해야 하며, 신청 기간과 방법은 각 지자체의 세무 부서에 확인해야 합니다.

재산세 납부 기준: 소유권 이전 시 주의사항

  • 재산세는 6월 1일 현재의 소유자에게 부과됩니다.

  • 매매 시 등기일이 아닌 잔금 지급일 또는 실사용 가능일이 기준입니다.

  • 예: 6월 1일 이전에 매매가 완료되면, 해당 연도의 재산세는 매수인이 아닌 매도인이 부담합니다.

납부 지연 시 가산세 부과

기한 내 납부하지 않을 경우 다음과 같은 불이익이 발생합니다.

  • 가산금 3% 부과: 납부 마감일 다음 날부터 체납액의 3%가 부과

  • 중가산금: 1개월이 지날 때마다 체납액의 0.75% 추가

  • 최대 누적: 중가산금은 60개월(5년) 동안 누적되며, 최대 45%까지 불어날 수 있음

예: 재산세 100만 원 체납 시

  • 납기 초과 직후: 3만 원(3%)

  • 1개월 초과 시 추가 7,500원(0.75%)

  • 총 체납액 = 1,037,500원

자주 묻는 질문 (FAQ)

1. 주택 재산세가 20만 원인데, 9월에도 납부해야 하나요?
20만 원 이하면 7월에 일괄 납부되므로 9월에는 납부 대상이 아닙니다.

2. 분할 납부는 누구나 가능한가요?
납부할 세액이 25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분할 납부가 가능합니다.

3. 위택스에서 납부하려면 회원가입이 필요한가요?
아니요. 비회원 본인인증만으로 납부 가능합니다.

4. 납부 기한을 하루라도 넘기면 가산세가 생기나요?
네. 납부 마감일 다음 날부터 바로 3%의 가산금이 부과됩니다.

5. 매수자와 매도자 중 누가 재산세를 내야 하나요?
6월 1일 기준으로 실소유자인 사람에게 재산세가 부과됩니다.


Tip
가산세 부담 없이 편리하게 납부하려면 9월 30일 전까지 온라인 납부를 완료하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가까운 주민센터나 시청 세무과에 문의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이 블로그 검색

}